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0)
태블로 주요 기능 사용하기: 지도(Map) www.youtube.com/watch?v=dadOqMBVUn0 위 동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aNq8MCl8STRLUKryrQKmR-gR-E86em-R/view?usp=sharing Superstore KR v201701 Advanced.xlsx drive.google.com 위 링크에서 superstore kr v2017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지도는 데이터에 공간적 맥락을 부여해서 BI 리포트를 풍성하게 한다. 태블로는 우리나라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 경계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에 시도 또는 시군구의 명칭이 있으면 바로 지도 화면을 만들 수 있다. * 문자 변수에 지리적 역할 부여하기 테이블에서 '시도'가 문자..
태블로 주요 기능 사용하기: 분석 패널(Analytics pane) 분석 패널 화면을 만든 후에 +a를 첨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에 스토리를 만들거나 컨텍스트를 부여하여, 깊은 수준의 분석이 가능하다. * 바 차트에서의 상수 라인과 평균 라인 상수 라인 '상수 라인'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값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카테고리 별 sales를 알기 위해 선반에 올려놓고 분석 탭에서 상수라인을 시트 안에 끌고 오면 상수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상수가 시트 안에서 선으로 표시된다. 각 카테고리에서의 sales 값이 600K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평균 라인 상수 라인에서는 특정 값을 설정해야 했지만 평균 라인에서는 현재 VLOD에 올라간 값들에 대한 평균을 나타낸다. 평균 라인이 보이는 형식을 세개 중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셀: 각 카..
태블로 주요 기능 사용하기: 이중축(dual axis) www.youtube.com/watch?v=Zf4MABLbqhw&t=2s 위 강좌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이중축의 세 가지 용도 이중축의 의미에 충실한 사용법 강조 포인트 제공 디자인 효과 또는 컨텍스트 부여 (1) 이중축의 의미에 충실한 사용법 하나의 차원을 두 개 이상의 측정값으로 보고 싶을 때 이중축이 사용된다. sub category 별 sales와 profit을 동시에 보고 싶을 때, 열선반에 sub-category, 행선반에 sales, profit을 올려놓았다. 여기에 이중축을 만들기 위해 두번째 측정값을 화면 오른쪽으로 점선이 보일 때 까지 끌거나, 두번째 측정값 우클릭> 이중축 선택할 수 있다. 이중축을 만드니, 마크 카드가 전체, sales, profit에 대해 생겼다. 전체 ..
태블로 주요 기능 사용하기: 필터 (추출 필터, 데이터 원본 필터, 차원 필터, 측정값 필터, 숨기기) www.youtube.com/watch?v=i_60_1RNYk8 위 동영상을 참고하여 글을 작성했습니다. 왜 나는 태블로에서 구글 빅 쿼리로 들어갔을 때 데이터가 불러와지지 않는 것인가 ㅠㅠ 그래서 대신 엑셀파일에서 order 데이터를 가져왔다. 데이터 원본 파일에서 order 데이터를 불러온 뒤 연결 방법을 '추출'로 바꿔줬다. '추출'을 하기 위해선 편집창에서 어떤 데이터를 추출할 지 선택해야 한다. 추출 필터는 데이터 원본 소스에서 데이터 일부분만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2021년에 배송한 데이터만 보고 싶을 경우, order date>년>2021>확인을 누른다. 시트로 들어가면, 방금 추출한 데이터를 어떤 경로로 저장할 것인지 물어본다. 앞으로 이루어질 작업이 원본 데이터에서가 아닌 추출한 ..
태블로 기초: Level of Detail (LOD) Aggregate(집계) 태블로는 집계된 값을 보여준다. value={1,1,1,2,5}라는 필드가 있고 이 필드를 선반에 올리면, 이 raw data 값이 그대로 노출되지 않고 특정 기준에 따라 집계한 값을 보여준다. 이 기준은 합계, 평균, 최대값, 최소값, 분산, 등이 될 수 있고 태블로는 일반적으로 합계를 가장 많이 쓴다. Slicing의 방법: 표현 방식 태블로는 측정값을 여러 차원으로 썰어서 보고, 여러 표현 방식에 따라 보는 방식이 달라진다. 매출(측정값)을 배송 방법(차원)으로 썰어서 볼 때 여러 표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배송 방법에 따른 매출을 파악하고 싶다면 바 차트를, 배송 방법에 대한 매출의 비율을 알고 싶다면 파이 차트를 이용하는 게 좋을 것이고, 디자인을 고려하면 버블 차트..
태블로 기초: 날짜의 연속형과 불연속형 태블로에서 날짜는 디폴트로 불연속형으로 설정 돼 있다. 날짜 데이터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선반에 올리고 앞의 + 표시를 누르면 년>분기>월>일>시>분>초 순으로 내려간다. 데이터를 월까지 올렸을 때, 날짜가 불연속형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월단위로 데이터가 분절되어 있다. * 날짜 계층들이 서로 독립적이다. 열선반에서 월만 남겼는데, 각 월의 매출은 모든 년도의 월별 매출의 합으로 표현됐다. 즉 불연속적인 날짜 데이터에서는 날짜 계층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반에 올라온 불연속형 날짜를 우클릭해서 연속형으로 바꿀 수 있다. 위쪽이 불연속형, 아래쪽이 연속형이다. 불연속형 날짜에서는 월이 년/분기/일 등에 귀속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5월'이라고만 나오지만, 연속형..
태블로 기초: 차원과 측정값, 그리고 불연속형과 연속형 차원은 불연속형이고, 측정값은 연속형인가? 항상 차원이 불연속형이고, 측정값이 연속형인 것은 아니다. 차원, 측정값에 연속형과 불연속형 모두 있을 수 있다. 측정값: 관심 대상이 되는 것 차원: 측정값을 어떤 관점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기준 연속형 차원을 생각하기에 앞서 불연속형인 quantity를 열선반에 올려서 차원으로 볼 수 있다. 불연속형 quantity를 열선반에, sales를 행선반에 놓으면 sales(측정값)을 quantity(불연속형 차원)으로 보게 된다. 자동으로 bar 차트가 그려지고, 차트 위쪽에 quantity 레이블이 생기고, 아래쪽의 quantity의 불연속적 변수값인 1~14가 각각의 레이블로 표시된다. 이제 연속형 quantity를 열선반에, sales를 행선반에 올려놓겠다...
태블로 기초: 연속형과 불연속형 태블로에서 연속형 변수와 불연속형 변수는 화면에서 어떻게 표현될까? (1) 초록색 알약 vs 파란색 알약 슈퍼 스토어에서 segment(고객 분류)는 기업, 일반소비자, 홈오피스로 구분된 불연속형 변수로 파란색 알약으로 나타나고, 매출은 0 이상의 실수값을 가지지는 연속형 변수로 초록색 알약으로 나타난다. 두 변수를 동시에 올리면 자동적으로 bar 차트가 나타나는데, 불연속적인 고객 분류 정보를 연속적인 매출 정보로 보고자 하기 때문에 bar 차트가 가장 적절하다. (2) 축(axis) vs 레이블 리스트(list with labels) 연속형 변수는 축이 표시되고 불연속형 변수는 레이블 리스트로 필드의 항목명이 표시된다. (3) 그라데이션(Gradation) vs 다른 계열의 색상(Distinct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