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
화면에서 Drill-Down 해서 값을 세부적으로 찾는 데 유용하다. 특히 멥에서 표현할 때 지역 데이터에서 계층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동일한 시군구명으로 인해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에 대한 계층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제품의 대분류와 중분류에 대한 매출을 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행선반에 대분류 뒤에 중분류를 놓고 열선반에 매출을 올려서 대분류 안에 중분류가 포함되도록 만든다. 오늘은 이런 방법을 쓰지 않고 대분류를 선택하면 중분류가 바로 펼쳐질 수 있는 계층을 만들겠다.
계층을 만들기 위해 왼쪽의 테이블에서 하위 분류인 '중분류'를 드래그해서 '대분류' 위에 올린다. 계층 만들기 창에서 '제품'으로 계층 이름을 정해준다. 테이블에 '제품' 계층 아래에 대분류, 중분류가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을 행선반에, 매출으르 열선반에 올려놓으면 행선반의 '대분류' 앞에 [+] 표시가 생기고 그걸 누르면 중분류 필드로 펼쳐진다. 선반 또는 마크에서 [+]이나 [-] 모양이 보이는 것은 필드에 계층이 만들어 졌거나 날짜 형식의 필드인 것이다.
'제품 이름'을 제품 계층의 가장 하위 단계로 추가하기 위해 테이블에서 '제품 이름'을 제품 계층의 중분류 아래로 drag & drop 한다. 행선반에서 중분류 알약 앞의 [+]을 클릭하여 제품 이름까지 막대 차트로 펼친다.
'시각화 > tableau 굿모닝 굿애프터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블로 차트 만들기: 채워진 맵 만들기 (2) | 2021.05.09 |
---|---|
태블로 차트 만들기: 지리적 역할 부여하기 (0) | 2021.05.09 |
태블로 차트 만들기: 총계 만들기 (0) | 2021.05.07 |
태블로 차트 만들기: 캘린더 차트 (0) | 2021.05.07 |
태블로 차트 만들기: 워드 클라우드 만들기 (0) | 2021.05.07 |